본문 바로가기
SSTUDY

산림의 취급단위 및 관련 단어 정리

by 옥슈슈🌽 2021. 2. 14.

산림에서의 임분

수종, 수령, 임상, 생육상태 등이 비슷하고 인접 산림과 구별되는 한 단지의 산림을 의미하는 말은 임분이다. 이러한 임분은 산림의 취급단위가 될 수 있는 임목과 임지를 합하여 임분이라고 한다. 크기는 적어도 1ha이상을 포함해야한다. 즉 임분이란 동질성을 띠고 있는 산림을 의미하는 말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산림작업에서의 윤벌기란 보속작업에 있어서 한 작업급에 속하는 모든 임분을 일순벌하는데 요하는 기간을 의미한다. 여기서 일순벌이란 산림이 조성될 때 부터 이용벌채 되어 갱신이 완료될 때 까지의 기간, 즉 산림의 한 세대의 길이를 의미하는 말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또한 산림 작업 종이란 갱신방법과 보육작업을 통칭하는 말로 표현될 수 있으며 산림의 한 세대동안 실시되는 모든 작업내용의 체계를 의미한다. 흔히 잘린 나무에서의 직경이란 지름을 의미한다. 나무에서의 종실의 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위도, 고도의 영향 그리고 나무의 유전성 및 입지환경과 수관의 위치를 말할 수 있다. 조경수의 식재시기로는 혹서기와 혹한기, 수목의 생장이 왕성한 하절기는 피하도록 해야한다. 즉 조경수의 식재시기로는 봄철, 가을철에 심는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그래서 이맘때쯤 고속도로를 운전해 보면 큰 나무 또는 작은 관목들을 한 껏 실은 대형차량들이 움직이는 것들을 많이 볼 수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또한 나무의 식재에 있어 기준이 될만한 이야기로는 식재지역의 기후와 토양에 적합한 수종을 선택해야한다. 식재지역의 역사 문화에 적합하고 향토성을 지닌 수종이여야 한다. 식재지역의 주변 경관과 어울리는 수종이여야 한다. 식재 지역의 주변 경관과 어울리는 수종이여야 하며 더불어 나쁜 영향을 끼치지 않는 수종이여야 한다. 또한 환경오염을 저감시키는 역할과 기후조절 등에 적합해야하며 기타 조경 목적에 적합한 수종이 적합하다고 볼 수 이다. 이러한 수목 식재에 앞서 굴취한 묘목을 묘목 구격에 따라 나누는 것으로 뿌리의 길이, 근원 직경 등 식재할 나무를 기준에 따라 나누는 것을 선묘라고 한다.

산림에서의 나무 식재의 밀도

나무의 식재에 있어서 중요하게 고려해야할 부분은 식재밀도이다. 밀도는 수고성장에는 큰 영향이 없다. 즉 위로 자라는 것에는 큰 영향이 없지만 직경생장에는 영향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영향은 수목 단목의 재적성장이 달라짐을 의미하고 소립할 수록 흉고직경이 커지고 단목재적이 빠르게 증가함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식재 밀도가 높을 수록 지름은 가늘지만 완만재가 되고 소립시키면 초살형이 됨을 기억해야한다. 그리고 수목의 식재밀도에서 최대 밀도는 수종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어느 일정 수준의 밀도까지는 식재되는 나무의 수 즉 본수가 많을수록 증가되나 어떤 밀도를 초과하면 면적당 총 생산량은 일정하게 됨을 이해야한다. 또한 수목의 식재밀도가 뫂을 수록 가지와 마디가 적은 목재가 생되며 밀도가 높은 임분에 있어서는 단목의 생활력이 약해지고 임분의 안정성이 감소되는 간벌의 필요성이 있게되는 상황이 만들어 진다. 수목식재에 있어 밀식의 장점으로는 수관의 울폐로 인해 표토의 침식과 건조를 방지하여 제벌에 의한 지력의 감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벌, 간벌에 있어서 나무를 고르는 선목에 대해 여유가 있으므로 우량한 임분을 조성하는데 유리하고 이러한 우량임분으로의 유도가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 더불어 간벌수입을 기대해볼 수 있다. 하지만 밀식의 단점으로는 묘목대, 식재비용의 증가로 인해 경제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밀집한 임분은 임분의 줄기가 가늘고 근계 발달이 약한 편이여서 자라는 동안 풍해, 설해를 당한다면 이러한 피해를 쉽게 당할 수 있다. 

우량한 조경수의 조건

우량한 조경수의 조건으로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중요한 7가지를 이야기해보려고한다. 우선 조경수로의 가치가 이또록 수형이 잘 정돈되어 있어야 하며, 발육이 양호하고 가지와 잎이 치밀하게 발달되어 있어야한다. 또한 병충해에 대해 피해가 없는 조경수여야 하며, 이식 시 활찰이 유리하도록 미리 이식하였거나 완전한 단근작업, 뿌리돌림이 우수하여 세근이 발달한 조경수여야 한다. 또한 왕성한 생육을 위해 수형, 지엽등이 표준 이상으로 왕성하고 충분한 크기의 분을 떠서 이식할 수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제일 중요한 요소는 조경수가 조경의 목접에 부합하는 수형이여야 한다는 것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