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STUDY

신비한 식물의 수면 운동

by 옥슈슈🌽 2020. 12. 27.

식물의 경성운동

식물의 경성운동

굴성운동과 같은 방향성을 보이는 운동 이외에도, 많은 식물과 식물 기관, 특히 잎은 경성운동을 보여주는 데 아주 중요한 식물의 기관이다. 여기에서는 식물의 운동방향이 자극이 지니는 방향성 요소와 관련되어 있지 않다. 경성반응은 차등 생장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경우에는 그 운동은 영구적인 성질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운동은 특수하게 분화된 운동기관내에서만 나타나는 팽압변화에 의해 초래되는 가역적인 운동이다. 상편생장과 감온ㄷ성은 차등생장응ㄹ 수반하는 경성반응의 예이다. 상편생장은 식물 기관이 아래로 굽는 것으로, 보통 잎자루와 잎의 끝 부분이 땅 쪽으로 향하게 된다. 그러나 그것은 중력에 대한 반응이 아니라 잎자루의 이와 아래 면에서 일어나능 옥신의 균등하지 않은 흐름에 의존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상편생장은 또한 에틸렌이다 과다한 양의 옥신에 대한 흔한 반응으로 볼 수 있다. 흔히 우리는 옥신이 식물의 굴광성과 관련되어 있다고 배우는데 식물의 옥신 역시 아주 중요한 경성운동의 하나이다. 가장 극적인 경성운동은 모두 팽압에 의해 작용하는 운동으로서, 이 운동들은 보통 3가지로 구분 할 수 있다. 수면 식물에서 나타나는 느리며 리듬적인 잎의 수면운동, 한정된 종 내에서 일어나느 매우 빠른 감진성 운동, 기어오름성 식물과 덩쿨 식물에서 실 모양의 부속 돌기가 보이는 감촉성 또는 굴촉성적인 휘는 운동이 있다. 수면운동과 감진성 반응은 엽침이라고 불리우는 특수화된 운동 기관에서의 차등적인 팽압 운동에 의해 일어난다. 엽침은 콩과식물과 괭이밥과 식물과 같이 복엽을 가진 식물에서 흔히 보이는 구근 모양의 조직이다. 그것은 엽병, 소벽엽, 소엽의 기부에서 발생한다. 엽침은 크고 얇은 세포벽을 가지는데 이러한 세포벽을 가진 많은 운동세포를 포함하고 있는것으로 알고 있다. 

식물의 김전성에 대한 자극과 운동

감진성 식물들 중 가운데 가장 잘 알려진 식물은 이 글을 읽고있는 여러분도 알다시피 열대성 관목인 미모사이다. 그러한 반응이 생존에 유리한지는 분명하지 않지만, 누군가 이런 식물들은 건조한 곳이나 건조한 바람에 노출되는 나지에서 자라기 때문에, 잎이 접혀지는 현상이 수분의 손실을 막게 해주는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제안했다. 실제로 잎이 접혀지는 현상때문에 수분손질이 줄어들기도 한다. 우리가 추운날 열 손실을 줄이기 위해 몸을 웅크리듯 식물도 그러한 운동을 통해 수분손실을 줄이려는 노력을 할 수 있다는 말이다. 그러나 한가지 분명한 사실은, 이 반응이 매우 빠르다는 것이다. 엽침이 직접적으로 자극을 받으려는 때에는 1초 이내에 굽혀지며 반응이 시작되는 것이다. 물론 감진성 식물에서 궁극적인 반응인 잎 운동은 수면운동처럼 엽침내 운동세포의 움직임이 관련되어 있는데, 감진성 반응에는 아주 중요한 3가지의 역할이 있다. 첫 번째는 반응의 신속성, 두 번째는 실무율의 법칙, 세번째는 자극을 받은 상태가 가해진 지점으로부터 다른 곳으로 전달되는 특이적인 반응이다. 식물도 활동 전위의 변화 형태로 자극을 전달하는 것으로 예살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게다사 실제로 미모사 식물의 어떤 부뉘가 자극을 받고 그 자극을 전기적 파동의 형태로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은 이미 수 많은 과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었다. 비록 식물은 신경조직을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체관이 신호전달을 위한 통로로 사용되어 그러한 기능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보이고 있다. 이러한 체관은 원형질이 연속되는 특징이 있으며, 독특한 구조 또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데에 매우 적합한 형태로 보이고 있다. 

댓글